Surprise Me!

[뉴스포커스] 푸틴 24년 만의 방북 초읽기…내주 서울서 한중 외교안보대화

2024-06-14 19 Dailymotion

[뉴스포커스] 푸틴 24년 만의 방북 초읽기…내주 서울서 한중 외교안보대화<br /><br /><br />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방북이 기정사실화되고 있는 가운데, 평양에서도 푸틴 대통령의 방북과 관련된 움직임이 보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크렘린궁은 이와 관련해 아직 일정을 발표할 때가 아니라고 밝혔는데요.<br /><br />김정은 위원장과 푸틴 대통령의 평양 만남에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푸틴 대통령의 방북과 같은 시기에 서울에서는 한중 외교안보대화가 열릴 것으로 예상됩니다.<br /><br />한반도를 둘러싼 복잡한 외교 현안과 관련해, 두진호 한국국방연구원 연구위원과 함께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.<br /><br />어서 오세요.<br /><br /> 대통령실 관계자가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며칠 내 북한을 방문할 것이라고 밝혔는데요. 어제는 다음주 18일과 19일 1박 2일에 걸쳐 평양을 방문할 것이라는 보도가 나왔습니다. 푸틴의 방북은 기정사실화되었다고 봐도 될까요?<br /><br /> 크렘린궁에서는 푸틴 대통령의 방북 날짜를 발표할 수 있느냐는 기자들의 질문에 "지금으로서는 아직 아니다"라고 답했다고 타스, 스푸트니크 통신이 보도했는데요. 러시아에서는 왜 푸틴 대통령의 북한 방문을 아직 공식화하지 않는 건가요?<br /><br /> 최근 중국과의 관계가 냉랭해진 북한이 푸틴 대통령의 방북을 서둘렀다는 얘기도 있던데, 만일 북한이 이런 요청을 했다고 하더라도, 러시아가 거절할 수도 있는 문제 아닌가요? 푸틴의 방북 시기가 예상보다 앞당겨진 게 맞나요?<br /><br /> 방북을 앞두고 있는 상황에서 푸틴 대통령이 지난주에는 "우크라이나에 무기 공급을 하지 않은 한국에 대단히 고맙다"며 한러 관계를 회복할 준비가 됐다고 말했는데요. 이건 어떤 의미로 해석해야 할까요?<br /><br /> 푸틴 대통령의 한국에 유화적인 제스처를 보낸 것도 그렇고, 이번에 대통령실이 푸틴의 방북 사실을 미리 알린 것으로 봤을 때, 한국과 러시아의 소통이 어느 정도 이뤄지고 있다고 봐도 될까요?<br /><br /> 이번에 푸틴 대통령이 북한을 방문하게 되면 2000년 이후 24년 만이라고 하는데요. 이번 방북은 표면적으로 볼 땐 작년 러시아에서 있었던 북러 정상회담에 대한 답방이지만, 이번 푸틴 대통령의 방북, 어떤 의미가 있다고 보시나요?<br /><br /> 러시아 푸틴 대통령은 지난 2,000년 방북 당시 김정일 위원장과 공동선언을 내놓기도 했는데요. 이번에 김정은 위원장과 정상회담이 이루어질 경우, 어떤 내용이 담기게 될까요?<br /><br /> 2,000년 북러가 조약을 체결할 당시, 자동 군사 개입 조항은 빠져 있었는데요. 이번에 그것을 되살릴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도 있습니다. 이 부분은 어떻게 보시나요?<br /><br /> 푸틴 대통령의 방북이 임박한 가운데, 양국이 무엇을 논의할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는데요. 지난해 정상회담에 이어 이번에도 군사와 경제협력 방안들이 논의가 되겠죠? 이번 정상회담에서 어떤 점을 눈여겨봐야 할까요?<br /><br /> 지난해 러시아에서 있었던 북러 정상회담에서는 공동선언문이 발표가 되지 않았는데요. 이번에는 어떻게 예상하시나요?<br /><br /> 러시아에 포탄을 지원해 온 북한에 러시아가 어떤 선물을 줄지도 관심인데요. 식량, 원유 같은 기존 지원 외에 정찰위성 발사에 필요한 우주기술 전수 가능성이 거론되는데, 이번에 북한의 정찰위성 발사가 실패하지 않았습니까? 어디까지 우주발사 기술을 전수해 줄 거라고 보세요?<br /><br /> 러시아가 그동안 북한의 재래식 무기를 공급받아 왔는데요. 이번에 푸틴이 북한을 방문하는 목적 중 하나가 현재 러시아에 시급한 이슈인 노동자 확보에 있다는 얘기도 있던데, 이 부분은 어떻게 보시나요?<br /><br /> 국제사회는 지속적으로 북러 간 무기 거래에 우려를 나타내고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대북제재 결의 준수를 촉구하고 있는데요. 안보리 상임이사국인 러시아가 대북제재 이탈을 공식화한다거나 노골적으로 위반할 가능성에 대해선 어떻게 보시나요?<br /><br /> 푸틴 대통령의 방북과 관련해 중국 외교부 대변인이 전통적 우호 관계를 공고화하고 발전시키는 것을 환영한다고 밝혔는데요. 지난해 9월 북러 정상회담 당시 북한 지도자의 러시아 방문은 북러 사이의 일이라고 밝힌 것과는 온도차가 좀 있는 것 같아요. 이 부분은 어떻게 봐야 할까요?<br /><br /> 지난달 차관급으로 격상된 한중 간 외교안보대화가 푸틴 대통령의 방북이 예상되는 다음주 초 서울에서 열릴 것으로 보이는데요. 북한에서는 북러 정상이 만나고, 서울에서는 한중이 마주 앉은 모습이 연출되는 건데, 한중, 북러가 한반도에서 동시에 만나게 되는 부분에 대해선 어떻게 보시나요?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

Buy Now on CodeCanyon